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23-12-10 04:12 조회 316회 0건
본문
천도제 비용 - 천도제는 당일 하루만에 끝나는 의식으로 보편적으로 200만원 망자를 위하여 더욱 잘하려면 바라춤 등 불교 의식에 따라
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자세한것은 스님과 의논해서 하면 됩니다
49제 비용 - 49제는 영가가 세상을 떠난 부터 49일간을 7 X 7 = 49 즉 일주일에 한번씩 지내는 것입니다.
비용은 500만 ~ 1,000만원 정도이며 형편에 따라 비용을 줄이는 방법은 1, 3, 5, 7 제 1, 3, 7, 제 또는 1, 7 제중에 선택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49제는 이 기간동안을 중음기간 이라 하며 중음이란? 영가가 살아 생전 알게 모르게 지은 죄의 업보를 고하고 사(없애는것)하여
재판 받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지장보살님전에 10대왕을 불러서 일일히 고하고 지은죄를 사하며 맑고 깨끗한 정신으로
저승 세계를 인도하는 절차입니다
2. 천도재(천도제)비용,천도제(천도재) 비용,천도재(천도제) 가격,천도재(천도제)금액
천도재(천도제)에 소요되는 비용은 결혼식 비용과 같이 정해진 것은 아니고
과일등 공양물을 많이 올리고 적게 올림에 따라 금액이 다르며 또 의식을 집전하는 스님과 보조원의
인원수에 따라 다르지만 편의상 아래와 같이 3종류로 분류해 본다.
(2015년도 물가기준 부산의 조그마한 사찰이나 암자에서 하는 경우에 해당)
천도재(천도제)에서 금액의 차이와 관계없이 의식은 동일하지만
큰 천도재(천도제)에는 법력높은 스님들이 대거 참석하여 여법하게 의식을 치루며
최소한 비용의 작은 천도재(천도제)에는 스님 혼자만 하는 것으로
비유로 말하자면
환자가 병원에서 수술을 받을 때 전문의와 보조의사 그리고 간호원등 여러명으로 구성된
한팀으로부터 수술을 받는 것과 의사 혼자만으로 부터 수술을 받는 것에 비유 해 본다.
① 비용 大 큰천도재(천도제) - 500만원 ~ 600만원
`
큰 천도재는 상단과 영단에 과일등 공양물을 충분히 차려놓고 화려한 꽃으로 영단을 꾸미며
저승에서 노잣돈으로 사용할 지전도 충분히 마련해놓고 나비작법(나비춤:부처님에게 5가지의
공양을 올리는 것을 가장 장엄하게 표현한 것)과 영단에는 바라작법(바라춤:저승길에 장애물을
없애주는 역할)등으로 웅장하고 화려하게 의식을 봉행하면 600만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② 비용 中 보통천도재(천도제) - 200만원
천도재(천도제)를 위하여 염불을 하는 법주스님과 보조원으로 바라지스님등의 필요인원으로
과일등의 공양물을 빠짐없이 차려놓고 극락왕생을 위하여 법식에 맞는 천도제를 지낼 경우
250만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③ 비용 小 작은천도재(천도제) - 100만원
천도재(천도제)에 꼭 필요한 재물만 차려놓고 스님 혼자서 의식을 집전 할 경우 100만원으로도
가능하다.
④ 반려동물(개, 고양이 기타등등) 천도제 - 100만원
가족같이 사랑하며 늘 함께 지내면서 정이 많이 든 반려동물이 죽은 경우
이젠 마음에서 떠나 보내고 다시 좋은곳에 태어나라는 의미로
마지막으로 살아있을 때 좋아하든 음식을 차려놓고 명복을 빌어주는
천도제로써 100만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3. 천도재(천도제)를 지내는 이유, 천도재(천도제)를 왜 지내나?
사람의 목숨이 끊어지면 영혼은 육체를 벗어나서 이승을 떠나
한줄기의 밝은 빛을 따라 저승으로 가야 하지만 그 가는길은 어둡고
두려움에 사로잡혀 쉽게 이승을 떠나지 못한다.
특히 원망이나 한을 품고 죽은 사람이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
또는 죽음에 대한 마음의 준비도 없이 갑자기 사고로 생명을 잃은 사람의
영혼은 생전의 미련과 집착이 남아 쉽게 이승을 떠나지 못하고
살아있을 때 살든 곳이나 가까웠든 사람의 주변에 머물면서
산 사람에게는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게 한다.
이렇게 이승을 떠나지 못하는 영가로 인하여 일어나는
아래의 경우에는 천도재(천도제)를 해 줘야만 해결된다.
① 죽은 사람이 꿈에 자꾸 나타나는 경우
② 사업이나 장사가 될 듯하면서 잘 안되고 하는 일이 자꾸 꼬이는 경우
③ 구설, 시비, 소송등의 액운이 끼여 분란이 일어나고 우환이 끊이지 않는 경우
④ 원인을 알 수 없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사건이나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경우
⑤ 아무런 이유도 없이 남녀간 애정이 순탄하지 않고 서로의 애정에 금이 생기는 경우
⑥ 기타 취직, 승진(명예), 합격(학업), 재물(돈), 자손(임신)등이 생각대로 잘
풀리지 않는 경우
4 . 천도재(천도제)대상(위패),천도재(천도제)에 올릴 영가(고인)
천도재(천도제)에 올릴 위패는 재자(신청자)의 생각으로 빨리 저세상으로 가기를 원하는 영가
또는 꼭 좋은곳으로 가기를 원하는 고인의 영혼(영가) 위패를 많고 적음의 수에 관계없이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여 돌아가신분의 마지막 가는길을 위하여 잔치상을 차려준다 생각하고
다음의 몇가지를 참고하여 재자(신청자)의 마음 가는 영가의 위패를 결정하여 올리면 된다.
(1) 인연고인영가
재자와 고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생전이나 사후와 관계없이 좋았든 관계였거나 나빳든
관계였거나를 막론하고 재자(齋者)와 인연이 닿아 재자의 인생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되는
영가(靈駕)
(2) 부모형제일가친척영가
부모님이 돌아가신 경우에는 첫번째로 선망부모님의 위패를 올려야 되며 다음으로 이미 고인이 된 형제자매와 천도재(천도제)를 신청한 재자가 알고있거나 얼굴을 본 적이 있는 가까운 일가친척 영가
(3) 선망조상영가
조상을 위한 천도재(천도제)일 경우 조상의 음덕(陰德)을 받기위한 것 보다 현재에 처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에 목적을 두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미 오래전에 돌아가신 얼굴도 모르는 3대 4대의 증조, 고조할아버지의 선망조상을 비롯하여
제적등본을 발급받아 여기에 사망으로 올려진 모든 일가친척 영가의 위패를 다 올릴 필요는 없다. 왜냐면 이미 오래전에 돌아가신분으로 부터 영향을 받기는 어려우며 영가의 수가 많을수록 좋은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4) 자살,사고사,객사,청춘영가
비록 재자와 인연은 없었지만 재자가 알고있는 지인(知人)중 자살한 영혼(영가)나
사고로 갑자기 죽은 영가,밖에서 떠돌다 객사로 죽은영가, 결혼식도 한번 올려보지못하고 청춘에 세상을 떠난 영가
(5) 수자령영가
과거 임신중절수술이나 사고 또는 자연등으로 낙태로 인하여 세상에 나오기도 전에 사망한
수자령(水子靈)이 있을 경우에는 본인이나 자녀의 애정관계에서 어려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런 때에는 다른 위패와 함께 수자령(태아령, 낙태령 같은 말임)의
위패도 같이 올려준다.
5. 천도재(천도제)의 준비물,천도재(천도제) 참석자의 복장
가. 천도재(천도제) 신청자의 준비물
천도재(천도제)에 고인의 영정사진이 있으면 미리 준비하여 영단에 올려놓을 수있고
생전에 입든 옷이나 새로운 영가옷을 장만하여 소대(소각장)에서 태워드릴 수 있다.
천도재(천도제)에 참석하는 사람은 하루전날부터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당일날에는 단정하고 청결한 복장(짧은 옷이나 꼭끼는 옷은 금물)에 절하기 편한
옷을 입고 참석하면 된다.
또 부처님전에 올릴 보시금이나 영가의 노잣돈으로 약간의 지폐를 준비하면 된다.
(천원, 오천원, 만원짜리등 금액에는 관계가 없으므로 본인 형편에 맞게 성의껏 놓으면 됨)
① 부처님전께 올릴 보시금으로 불전함에 넣든지 불단 위에 올린다.
② 영단에 노잣돈으로 놓는다.
③ 관욕식을 할 때 관욕단의 병풍 앞에 목욕비로 놓는다.
④ 마지막으로 법당 밖의 소대(소각장)에서 봉송 할 때 노잣돈을 한푼 놓는다.
나. 사찰에서 준비물
① 초. 향. 등. 차등의 기본공양물
② 떡. 과일 5~7종 3~5단. 나물3~5종. 전3~5종. 밤 대추등의 음식물
③ 비누. 수건. 치솔. 치약. 빗. 거울. 양말. 버선등의 관욕물품
④ 영가한복(영가 한분에 1벌씩 준비), 지전등의 영가용품
⑤ 반야용선.각종번. 길베등의 천도용품
6. 천도재(천도제) 시간, 천도재(천도제) 소요시간, 천도재(천도제) 시작시간
천도재(천도제)의 시작시간은 보통 오전10시부터 시작되며
최소한 2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그러나
천도재(천도제)의 크기에 따라 3시간 이상 소요될 수도 있으며
시작시간도 사정에 따라 오후 1시 또는 오후 3시, 오후 5시에
시작 할 수도 있다.
7. 천도재(천도제) 지내는 순서, 천도재(천도제)의 차례
천도재(천도제) 지내는 순서나 차례는 정해진 것이 아니며
지역에 따라 다르고 법주(천도재를 주관하는 스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종단이나 사찰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천도재(천도제)의 차례나 순서에 대하여 시작하기 전에 재도감(齋都監:재를 총관장하는 스님)과
법주(염불하는 스님의 우두머리) 그리고 주지스님등이 모여 미리 의논하기도 하며
부처님께 예경을 올리고 영가를 저세상으로 잘 가도록 인도하고 안내하고 권유하는 과정이나
생전의 죄업을 씻어내는 관욕등 의식등에서 순서나 차례와 관계없이 결과(결론)는 마찬가지이므로
순서나 차례는 바꾸어도 무방하다.
8. 천도재(천도제)의식
아래의 천도재(천도제) 의식순서는 현재 부산경남지방에서 주로 사용하는 천도재(천도제)
의식의 차례이다.
① 삼신이운
② 대령의식
③ 관욕의식
④ 삼보통청
⑤ 신중퇴공(신중권공)
⑥ 전점안(명전점안)
⑦ 지장청(지장불공)
⑧ 전시식(또는 관음시식)
⑧ 봉송의식
9. 천도재(천도제) 문의 및 상담
전화 : 010-9706-5058
기업은행 093-144121-01-017 예금주 - 우리절 구생사
10. 천도재(천도제) 신청 (천도재를 위하여 이곳에 알려줘야 할 사항) :
① 주소 :
② 신청인 성명 및 성별(남.여)
③ 생년월일(음력. 양력)
④ 영가(돌아가신 분)의 이름 및 본관, 성별(남.여) (아는것만 적으면 됨)
⑤ 신청인과 영가와의 관계
⑥ 위패사진을 받을 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번호
⑦ 핸드폰번호(위패 제작에 필요한 경우 연락 함)
추가로 더 신청할 영가(돌아가신분)가 더 있을 경우
⑧ 영가(돌아가신 분)의 이름 및 본관, 성별(남.여) (아는것만 적으면 됨)
⑨ 신청인과 영가와의 관계
기업은행 093-144121-01-017 예금주 - 우리절 구생사
- 이전글의사조사 법성계 1 24.06.26
- 다음글천도재(遷度齋)는 무엇이고 왜 하는 것인지 알아볼까요? 23.12.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