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년 인등 (지장인등 영가인등 소원성취인등), 불교의 의문과 해결 > 우리절 구생사 기도

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
우리절 구생사 기도


010-9706-5058

평일 09:00 ~ 18:00

우리절 구생사 기도

페이지 정보

인등 기도 | 일년 인등 (지장인등 영가인등 소원성취인등), 불교의 의문과 해결

작성자 최고관리자 23-12-06 22:56 조회 167회 0건

본문

일년 인등 (지장인등 영가인등 소원성취인등), 불교의 의문과 해결


 

일년 인등 접수 합니다 (지장인등 영가인등 소원성취인등)

2023년 계묘년 새해에 올리는

일년 인등 불사 접수합니다

 

부처님전 지장보살님전에

인등을 환하게 밝혀주세요

 

(새해 일년 인등 연등 불사공양 접수)

 

ㅡ. 부산 우리절 구생사 대웅전

 

1년 1인 지장인등 불사비 : 5만원

1년 영가 인등비 : 5만원

 

ㅡ. 부산 우리절 구생사 대웅전

 

1년 1인 소원성취인등 불사비 : 5만원

 

인등불사 접수기간: 2022년1월4일~2월4일 입춘일까지

 

인등불사 동참자 축원불공일 : 1월23일 일요일 오전10시~

 

인등불사접수 문의070-4121-7505 (부산 우리절 구생사)

                         010-9706-5058 지우스님 문자 카톡

 

인등비 입금계좌 :

기업은행 : 

 

(스님의 우리절 소원정사 대웅전

원하시는 곳에 올려드리고

두곳 모두 인등을 올려주셔도 됩니다

올려주시는 분들을 위해

인등위치와 사진을 보내드리며

일년중 언제든지 직접 인등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인등이란?

 

인등은 부처님과 지장보살님전에

1인 등불을 밝히는 것입니다

 

이 인등 하나 하나에

각자의 가족 이름으로 인등을 켜는 것은

가족모두의 무명을 밝히고자 함이며

부처님 위신력으로 우리 불자님들을

올 한해 잘 돌봐주십사 발원하며 올리는

등공양으로 육법공양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새해를 맞아서

섣달보름날에

인등을 올리는 이유는

올한해 내내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우리 불자님들의 무명업장을 밝혀서 녹이고

건강과 수명장원을 빌고

병고나 액난을 피하고

각자의 소원성취를 발원하려 하는 것입니다.

 

우리 불자님들은

동참으로 부처님전에

선근의 공덕을 잘 지어주십시오

 

(일년 법당 연등 접수)

 

1인연등 5만원, 영가연등 5만원

가족일체연등 10만원, 소원성취대연등 30만원

 

기도와 불공 천도재 법회 동참 접수 스님상담

070-4121-7505 (부산 우리절 구생사)
010-9706-5058 지우스님 문자 카톡

(기도비 불공비등 입금계좌 안내)


소원성취 기도와  인생상담은 소원정사 지우스님께 문의하셔요



*기도와 불공에 동참공덕 지어주신 분들과
스님상담, 법회에 처음 동참하시는 분들에게는
기도법 책과 영험한 호신부를 드립니다*

 


img.jpgimg.jpg 인등불img.jpg
img.jpg
img.jpg 인등불img.jpgimg.jpg 부처님과 인등불
좋아요공감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


아뢰야식(阿賴耶識)과 말나식(末那識) 


불교의 석가모니는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의 6가지 인식을 이야기했다. 사람은 이 6가지로 삼라만상을 인식함을 이야기한다. 이를 육식(六識)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보지 말아야 할 것을 보고 색욕(色慾)을 일으켰다면, 이는 육식 중 눈에 해당하는 안식(眼識)에 업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선악의 업보를 짓는 것은 6가지 감각기관임을 설파하신 것이다. 여기서 안이비설신의는 각각 눈, 귀, 코, 혀, 몸, 마음의 6가지 감각기관이다.


그런데 시대가 흘러 기원후 5세기경(석가 이후 천년후) 세친(世親)과 무착(無着) 형제의 유식학(有識學) 시대에 들어가면 석가모니의 6식에 아뢰야식(阿賴耶識)과 말나식(末那識)의 2식을 더하여 8식을 이야기한다. 7식 말나식과 8식 아뢰야식은 무의식의 세계다. 아뢰야식은 쉽게 말하면 모든 정보를 훈습하는 기능을 하고, 말나식은 아뢰야식에 저장된 종자를 이끌어내어 현행하게 함으로써 현재적인 인식이 이루어지게 하고, 생각과 생각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이 8식은 당시 불교계에 굉장히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인도에서 발생된 새로운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머나먼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이르기까지 대승불교를 믿는 곳이라면 널리 퍼지게 된다. 원효가 소(疏)를 달은 것으로 유명해진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도 바로 이 8식을 채용한다. 즉 우리나라 불교는 이미 시작부터가 8식 불교로 보는 게 맞을 것이다.


그런데 나는 의문이 든다. 과연 이 8식이 맞는 것일까? 6식까지는 이해가 된다. 왜냐하면 보이고 들리는 의식을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7식 말나식과 8식 아뢰야식은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잘 와닿지 않는다. 무의식의 세계라 설명이 어려운 것인가?


그러면 석가모니는 6식만을 이야기하셨는데, 세친과 무착이 8식까지 추가한 것은 석가모니보다 그들의 도가 뛰어나기 때문인가? 아니면 8식까지가 맞는데 석가모니가 6식까지로 말씀을 아끼신 것인가? 그러면 석가모니가 6식까지만 말씀하신 건 다 뜻이 있는 것인데 세친과 무착이 천기누설로 나불댄 것인가? 


이런저런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밤이다. 나는 아는 게 거의 없어서 무엇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해되지 않는 건 그냥 접어두는 게 맞다고 본다.(사전적 의미를 몰라서 접는 게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분간은 6식만 접수하기로 한다. 

.


▣ 사찰의 문

1.일주문

* 절 입구에 양쪽 하나씩의 기둥으로 세워진 건물

* 일주문을 경계로 문밖을 속계, 문안을 진계라 부름

2.천왕문

* 부처님의 세계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문 : 일명 봉황문

* 동쪽에 지국천왕-비파 가짐 * 서쪽에 광목천왕-여의주,새끼줄 가짐

* 남쪽에 증장천왕-보검 가짐 * 북쪽에 다문천왕-보탑을 가짐

* 금강력사(인왕)-절의 어귀나 문 양쪽에 모신 수문장(반나체 모습)

3.해탈문

* 모든 번뇌와 망상을 벗어나 깨달음을 얻는 문

4.불이문

* 중생과 부처, 선과 악, 유와 무, 공과 색 상대적 개념에 의한 모든

대상이 둘이 아니라는 불교진리의 불이사상을 나타내는 문



▣ 사찰의 전

대웅전

*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봉안한 불전(금당)

대적광전

* 법신 비로자나 부처님을 주불로 봉안한 불전(대광명전)-화엄종 주불

* 주불이 아닐 경우는 비로전이라 부름

* 삼존불일 경우 석가모니불(화신)/비로자나불(법신)/노사나불(응신)

극락전

* 아미타부처님을 봉안한 주불전-주불전이 아닐 경우 미타전

* 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의 미타 3부경에서 유래함

약사전

* 약사여래부처님을 모신 불전-만월전으로도 부름

미륵전

* 미륵부처님이나 미륵보살을 모신 불전-용화전으로도 부름

원통전

*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신 불전-부속 전각일 때는 관음전이라 부름

지장전

(명부전)

* 지장보살을 모신 전각-염라대왕 등 10왕을 함께 모시면 시왕전

응진전

* 부처님의 제자 16나한을 모신 전각-500나한을 모신 나한전

팔상전

* 부처님의 일대기를 8장면으로 도해한 그림이나 조각을 모신 전각

영산전

* 석가모니 부처님의 영산회상도를 모신 전각-영취산 설법모임 그림

칠성전

* 치성전여래를 모신 전각 또는 북두칠성을 부처님화한 전각

산신각

* 산신(주로 호랑이)을 모신 전각-삼성각은 산신,칠성,독성을 모심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각 (주불전-부처님을 모신 불전 : 일명 금당)

▣ 불상의 존칭 

석가모니불

* 대웅전의 주불로 봉안

* 응진전, 나한전, 영산전, 팔상전에도 주불로 봉안 됨

* 협시보살로 좌측에 문수보살과 우측에 보현보살

좌측에 관음보살과 우측에 허공장보살 또는

좌측에 관음보살과 우측에 미륵보살로 배치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