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23-12-06 22:37 조회 189회 0건
본문
입춘,삼재풀이 정초 기도
입춘 삼재풀이 정초기도 안내
(소각용품 준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삼재풀이 가능)
※ 만약 삼재풀이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삼재풀이 할 내용
(삼베삼재풀이 기도부)의 사진을 찍어 미리 메일로 보내드리고
2016년 2월 4일 삼재풀이를 봉행한[지우스님 부적연구소]의 [사진전시실]에 동영상을 올림
부산광역시 동래구 반송로 273번길 2 우리절 구생사
연중행사
통알(通謁, 歲謁)/불탄절(佛誕節)/성도절(成道節)/열반절(涅槃節)/우란분회(盂蘭盆會)
1. 통알(通謁, 歲謁)
새해가 되어 덕을 입고 있는 교주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을 비롯 삼보와 호법신중과 인연 있는 일
체대중에게 세배드리는 의식이다.
온 대중이 대웅전에서 우선 불전에
'대중은 업드려 청하옵니다.
일대교주 석가모니불이시여(伏請大衆一代敎主釋迦世尊前)' 하고 세알 삼배를 한다.
계속해서 시방삼세의 불보와 법보와 승보 전에 삼배를 하고,
명부시왕 호법신중 내지 산신들에게 세알 삼배 하고,
국가와 시대교주 석가모니불이시여'하고 세알 삼배를 한다.
계속해서 시방삼세의 불보와 법보의 승보 전에 삼배를 하고,
명부시왕 호법신중 내지 산신들에게 세알 삼배 하고,
국가와 시주등 먼저 돌아가셨거나 살아 계신 스승님과 부모와 친척 일체 고혼에게 삼배하고,
끝으로 같이 거주하며 수행하는 도반들께, 강원 대중께 세알 삼배를 한다.
통알은 세속의 세배와 달리 삼보로부터 은혜를 입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통괄적으로 그 동안의
은덕에 감사드리고
모두에게 부처님의 자비광명이 함께할 것을 기원하는 의식이다.
2. 불탄절(佛誕節)
봉축법회(奉祝法會)는 불교의 4대 명절에 행해지는 법회로
부처님오신날 봉축법회(4월 8일).출가절(2월 8일).성도절(12월 8일).열반절 봉축법회 (2월 15
일)가 있다.
불탄일의 기원은 <불소행찬(佛所行讚)>에는 4월 8일로 되어 있고,
<유행경(遊行經)>에는 2월 8일로 되어 있는데 우리나라는 음력 4월 8일설을 채택하고 있다.
성탄법회는 1)타종(33번)을 하고 2)개회에 이어 3)삼귀의례 4)찬불 5)독경 6)헌공 7)기념사 8)
청법가 9)입정 10)설법을 하고
11)법문이 끝나면 축사 12)석가모니불정근을 하고, 13)발원 찬탄해 마치면 관불을 한다.
14)사홍서원 15)산회가를 하고 폐회한다.
출가법회도 성탄법회에 준하여 행하고 출가의 참뜻을 되새기고 마음을 가다듬기 위해 참회의
의식을 넣어 108참회를 하기도 한다.
출가일을 보통 '발심의 날'로 정하고 오후에는 불식(不食)하는 불자도 있다.
성도일법회는 성탄법회와 마찬가지이고, 정근은 아미타불정근을 한다.
승려나 신도는 자신의 신행을 확인하여 참회하고 철야 정진한다.
이는 성도재를 산림식 (山林式)이라 하여 수행과정을 거쳐 결국 성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
여한 수행법의에서 나온 것이다.
열반일법회도 성도일법회와 같고 부처님의 뜻을 깊이 추모하는 뜻으로 묵언수행을 한다.
1)관불의식(灌佛儀式) :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을 기념하여 탄생불을 장엄하고 관정하는 법회이다.
욕불회(浴佛會). 용화회(龍華會). 석존강탄회(釋尊降誕會). 불생회(佛生會)로 불린다.
<보요경(普曜經)>에 의하면 부처님이 탄생하셨을 때 용왕이 공중에서 향수를 솟아나게 하여 신
체를 세욕시켰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또 <관세불형상경(灌洗佛形像經)>에는 이 의식에 대하여 초파일은 만물이 모두 새로 생하되 아
직 독기는 나타나지 않으며
춥지도 덥지도 않은 시절로 관불에 적당하다는 것이다.
이 의식은 탄생불을 불단에 모시고 룸비니 동산의 화원을 상징하는 꽃바구니를 만들고 향탕수
즉 감로다를 정수리부터 쏟는다.
먼저 욕불게(浴佛偈)를 하면서 법사가 행하면 신도들이 따라서 행하여 공덕을 쌓는다.
관불은 부처님을 목욕시켜 드린다는 뜻이 담겨 있어 감로수를 뿌리는 것이 향수를 뿌리는 것과
같고 불상을 씻어 드리는 것과 같아서
한량없는 공덕이 있다고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